안녕하세요.
건강한 문봉쌤입니다!!
최근 일어난 신림동 칼부림 사건 때문에, 대한민국이 떠들썩 합니다.
신림동 칼부림 사건이란,
신림동에서 한 30대 남성이 흉기를 들고 무고한 시민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한 사건입니다.
4명의 시민이 공격을 당해 1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요즘은 과거의 원한이나 목적성을 띤 범죄보다 무차별적, 폭력적 범죄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왜 이런 사건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생물학적, 인지적, 성격적, 뇌의 원인 등이 있습니다.
과도한 경쟁 사회, 빈부격차로 인한 양극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개인의 인지적 오류가 일어날 수도 있고, 성격에 변화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삶을 위해 우리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다스려야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범죄 심리학의 개념에서 살인 범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범죄 심리학에서는 살인 범죄를 다양한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요.
살인범죄
1. 존속 살인
2. 비속 살인
3. 다수 살인
이렇게 나눌 수 있는데요. 그중 오늘은 다수 살인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수 살인
다수 살인이란, 다수의 사람을 죽이는 살인범죄를 뜻합니다.
다수 살인도 피해자의 수, 살인행위의 시점에 따라 구분됩니다.
1. 피해자 수에 의한 구분
▶ 단일 살인 : 한 사건 한 장소에서 한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살인.
▶ 이중 / 삼중 살인 : 한 사건 한 장소에서 두 명, 세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살인.
▶ 다중 살인 : 한 사건 한 장소에서 4명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살인.
이 구분은 단순히 피해자의 수로 분류한 것입니다. 다만, 한 사건 한 장소에서 발생했다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다중 살인은 고전적으로 한 사건에서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 사건을 떠올리시면 되는데, 대표적으로 가족 다중 살인이 있습니다.
원한, 살인의 목적을 가지고 자신 또는 타인의 가족을 살해하는 형태입니다.
2. 살인 행위의 시점에 따라 구분
▶연쇄살인 (serial murder) : 3곳 이상의 개별적 장소에서 3건 이상의 개별적 사건들이 발생하는 살인. 심리적 냉각기가 있음.
▶ 연속 살인 (spree murder) : 두 곳 이상의 장소에서 한 건의 사건이 발생한 살인. 심리적 냉각기가 없음.
▶ 대량살인 (mass murder) : 한 장소에서 한 번에 3명 이상의 사람을 죽이는 행위. 심리적 냉각기가 없음.
심리적 냉각기란, 살인과 살인 사이에 심리적 흥분이 가라앉는 시간입니다. 보통 연쇄살인에서 발생하는데, 연쇄살인범들은 이 시기에 일상생활을 이어간다고 합니다.
즉, 그들은 살인 당시 심리적 흥분, 쾌감을 느낀다는 것인데요. 이 흥분을 충족하기 위해 살인을 한다는 뜻이 됩니다.
여기서 연쇄살인과 연속 살인의 개념이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연속 살인은 범죄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범죄자가 한 장소에서 한 살인을 저지르고 곧바로 장소를 옮겨 살인을 저지르게 됩니다.
이것이 연쇄살인과 혼동될 수 있는 부분인데, 연쇄살인과의 큰 차이는 심리적 냉각기의 유무입니다.
심리적 냉각기란, 살인과 살인 사이에 심리적 흥분이 가라앉는 시간입니다. 보통 연쇄살인에서 발생하는데, 연쇄살인범들은 이 시기에 일상생활을 이어간다고 합니다.
즉, 연속 살인은 이런 심리적 흥분이 가라앉지 않고 곧바로 살인을 또 저지르는 형태입니다.
이제 연쇄살인과 연속 살인의 차이를 아시겠나요?
그렇다면, 신림동 칼부림 사건은 어떤 살인에 해당할까요??
살인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한 사람을 피해자로 본다면, 단일 살인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나머지 3명의 피해자가 살인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했다면, 다중 살인이 됩니다.
범죄 심리학적 개념으로 사건을 바라보면, 무게감이 더 느껴지지 않으시나요??
오늘의 심리학 개념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에도 더 흥미로운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 심리학 -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불안과 방어기제 (0) | 2023.07.29 |
---|---|
상담 심리학 - 인간 중심 이론 (0) | 2023.07.29 |
범죄 심리학 - 심리학과 법의 관계 (0) | 2023.07.28 |
성격 심리학 Henry Murray의 직업적 성취의 조건 (0) | 2023.07.28 |
<상담 심리학> 실존주의 이론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