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성 암 산재 보상
안녕하세요. 건강한 봉쌤입니다.
오늘도 산재보상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
최근 각종 암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인데요. 암 발병이 업무와 연관성이 있다면, 산재보상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업성 암'의 정의와 산재 인정 요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산업재해 보상에 대해서 설명을 잠깐 하고 가겠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산재 보상금을 모르시고 넘어가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 직업병]
- 소음성 난청
- 근골격계 질환 (인공관절 수술)
- 직업성 폐질환 (진폐, 만성폐쇄성폐질환)
- 출퇴근 재해
- 뇌심혈관계 질환
현직에 계시거나 퇴직하신 근로자분들께서는
직업병을 근로복지공단에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 신청하여,
산재 보상금을 최소 몇백만 원 ~ 최대 1억 원가량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성 암
직업성 암으로 산재 신청을 하기 전에, 직업성 암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직업성 암이란,
① 직업적으로 발암물질에 노출되어 일정 잠복기가 지난 후 발생하였거나,
② 뚜렷한 발암물질은 확인하지 못했지만 특정 직업군, 산업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업무에
상당기간 종사해 발생한 암을 의미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발암물질과 직접 닿는 부위에 암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피부와 폐가 표적장기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설명드린 것처럼 일정 기간의 잠복기 이후 발병하기 때문에,
유해물질에 처음 노출된 시점부터 암 진단일까지 상당한 기간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근로복지공단에서는 이를 잠복기로 보고 있습니다.
(단, 잠복기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고 노출 수준과 양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직업서 암 산재 인정요건
위에서 직업성 암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직업성 암으로 산재 보상을 받으시려면 몇 가지 요건을 충족하셔야 합니다.
직업성 암의 산재 인정요건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① 원발성 암
발병한 암이 다른 암에 의한 전이나 치료에 의해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②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발암물질
국제암연구(IARC)와 같이 국제 기관에서 인정한 발암물질에 노출되어야 하며,
산재법 시행령에 명시된 발암물질에 노출된 경우도 해당됩니다.
③ 표적장기에 발생한 암
표적장기에 발생하여야 하며
④ 잠복기를 거침
일정 잠복기를 거쳐야 합니다.
Homepage – IARC
LABORATORY SUPPORT, BIOBANKING, AND SERVICES
www.iarc.who.int
직업성 암의 발병은 다양한 유해물질과 관련성 있고
발암요인으로 밝혀지기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인정기준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개별 사례별로 판단하게 됩니다.
대표적 직업성 암의 종류
그렇다면 대표적인 직업성 암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대표적인 직업성 암으로는
1. 폐암
폐암은 선암, 소세포암, 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으로 구분되며
선암은 폐암 중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비흡연자, 여성에도 많이 발병되는 폐암입니다.
관련 업무로는 알루미늄 생산, 석탄가스, 코크스 생산, 고무제품 제조에서
많이 발병합니다.
방광암, 산업재해 신청 (직업성 암 산재 보상)
방광암 산재 보상안녕하세요. 건강한 봉쌤입니다.오늘은 제가 대리해 드린 분의 산재 보상에 성공한 방광 산재 사례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그전에 산업재해 보상에 대해서 설명을 잠깐 하
healthybongssam.tistory.com
2. 백혈병
백혈병은 급성, 만성으로 구분되며
혈액세포의 종류에 따라 골수성, 림프성으로 구분됩니다.
백혈병은 1년 미만의 짧은 잠복기가 존재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관련 업무로는 드라이클리닝, 의료기기 소독, 전리방사선(비파괴검사 등) 등에서 많이 발병합니다.
따라서, 방사선과에서 오래 근무하신 분이라면 산재 인정 가능성이 있겠죠.
3. 악성중피종
악성중피종은 흉막, 복막 등에 발병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약 90%가 흉막에서 발생합니다.
악성중피종은 석면에 의해 발병된다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석면에 장기간, 고농도로 노출될 경우 30년 이상의 잠복기 이후 발병될 수 있습니다.
석면 노출 이외에도 에리오나이트라는 물질에 의해서도 발병 가능한데,
이는 도장공, 용접공 등이 노출되는 물질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직업성 암의 정의와 인정기준, 종류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직업성 암 산재 절차와 보상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직업성 암은 긴 잠복기를 거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업무로 인하여 발병했다고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암에 발병하셨다고 한다면 업무와 관련성은 없었는지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산업재해 보상에 대한 입증책임은 신청자에게 있으므로
꼼꼼한 준비없이 진행하셨다가 불승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업성 암 산재 신청 전에 산재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시고
처음부터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산재법은 근로자의 보호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권리를 찾기 위해서 주저하지 마시고 산재 신청하기 바랍니다.
산재 관련 문의가 있으시면
쪽지 남겨주시거나 문자 또는 전화로 무료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산업재해 보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틀목공 어깨 질병 산재 보상 사례 (0) | 2024.08.26 |
---|---|
업무상 재해 유족급여 보상, 산재 유족보상 (0) | 2024.05.23 |
일용직 형틀목공 인공관절 산재, 무릎 질병 산재 보상 (0) | 2024.05.22 |
방광암, 산업재해 신청 (직업성 암 산재 보상) (0) | 2024.05.05 |
공항 근로자의 소음성 난청 산재 승인 (2) | 2024.03.28 |